아산지역 국회의원 재·보궐 선거전이 16일 후보등록을 마치고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그러나 지난 16대에 이어 17대에서도 국회의원이 없는 무주공산으로 이번 선거과정을 지켜보고 있는 취재기자는 지역 정치의 수준과 한계를 여실히 볼수있어 안타까움과 정치개혁의 필요성이 목밑까지 차 오르고 있다.

특히 이번 4·30 아산시 재선거는 각당의 “정책은 없고 이합집산만 있다”는 말과 아산이 ‘철새도래지가 되었다’는 농담섞인 말을 건네기도 한다.

각 후보와 정당의 정책대결은 뒤로 한채 후보와 정당의 연결이 뒤섞여서 이 사람이 어느 정당인지, 이 사람과 저 정당의 코드가 맞는가가 헷 갈리고있다.

또 어떤 기준으로 선택해야 하고, 어떤 인물을 국회로 진출해야 국가와 지역이 미래 지향적으로 바뀔수 있는가에 대한 판단이 여간 쉽지 않다.

이미 지난 17대 총선부터 불기시작해 민주적 후보 선출인 경선 제도는 사라지고 후보들이 중앙당만 쳐다보는 신세가 되어버려 선거판에 지역민심은 없고 중앙당 고위당직의 표계산만 있게된 것이다.

열린우리당 후보로 확정된 인사가 전혀 색깔이 다른 정당의 후보였다는 점에서 후보의 정체성 논란으로 선거시작 전부터 탈당과 낙선운동, 탄핵논쟁까지 나왔다.

이마저 선관위의 ‘이중당적’이라는 판정에 언론과 여론들로부터 당선만 너무 집착한다는 혹독한 비판을 받고 있다.

한나라당도 자민련과의 연합공천설로 한때 한 예비후보가 공천을 결정하는 날 입당하는 내홍을 겪다가 결국 경선 없이 중앙당의 공천으로 후보가 선출되었다.

자민련 역시 지역 시의원이 후보로 나선다며 기자회견까지 약속하고 돌연 취소하고 또 전직 국회의원이 출마한다며 예비후보로까지 등록 했으나 이마저 취소 하고 또 다시 후보 등록을 하는 해프닝의 연속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과정에서 중부권 신당논쟁까지 겹쳐지면서 지역 정치판은 이합집산만 난무해 유권자들에게 실망만 안겨주고 있다.

이렇듯 이번 재·보궐선거가 혼탁한 선거임에도 불구하고 유권자들은 또다시 올바른 선택을 해야 한다.

누가 지역을 대표해 국회에서 의정활동을 제대로 할 사람인지 판단해야 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