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국장칼럼] 이민우

'안전도시'는 안전제일의 가치관이 생활 속에서 체질화 돼 행동양식과 사고방식, 태도 등을 포함한 총체적 의미의 안전을 실현하는 도시를 말한다.

인간은 누구나 안전하게 살 권리가 있으나 일상생활에는 재난, 재해, 범죄, 사고 등의 위험이 항상 노출된다. 역대 모든 정부는 '안전이 최우선'이라 말해왔으나, 우리나라는 여전히 OECD국가 중 각종 안전사고 최하위 국가의 오명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면 청주시는 안전한 도시일까? '범죄의 도시(고담시티)'라는 오명과 달리 청주시는 '범죄'와 '생활안전' 분야에서 전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안전도시'로 손꼽힌다. 특히 성폭력, 데이트폭력 등 여성 관련 범죄 피해자 수가 전국에서도 낮은 수준인 데다 '범죄', '생활안전' 등에서도 비교적 안전한 지역이다.

그러나 청주지역이 '범죄도시'의 오명을 벗지 못하고 있다. 올해 발생한 고유정 관련 사건부터 최근 화성연쇄살인사건의 용의자가 청주에서 강력범죄를 저지른 뒤 충북경찰에 붙잡힌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부정적 이미지가 굳어졌기 때문이다.

청주지역을 비롯해 충북지역 범죄 관련 지표는 해마다 좋아지고 있다. 충북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치안서비스를 직접 받는 도민들의 치안고객만족도 점수는 2017년 75.3점에서 2018년 79.6점으로 4.3점 향상됐다.

조사방식을 전화 설문조사에서 스마트폰 메신저앱 등으로 바꾸고 난 뒤 일시적으로 낮아진 치안고객만족도가 개선된 것이다.

전화 설문조사를 하던 지난 2016년 당시 도내 치안고객만족도는 78.4점이었지만, 표본이 적어 도민을 대표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었다. 경찰 측은 이듬해인 2017년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바뀌면서 표본이 8배가량 증가하고, 연령대가 낮아져 점수가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다만, 치안고객만족도 순위는 2016년 3위에서 2017년 4위, 2018년 7위로 매년 떨어지고 있다. 치안만족도뿐 아니라 실제 범죄 발생 건수만 봐도 충북지역은 범죄율은 높지 않은 편이다.

지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도내에서 발생한 인구 10만명당 연평균 5대 범죄(살인·강도·절도·성폭력·폭력)는 335건으로, 도세가 비슷한 강원 364건보다 낮다. 건수로 보면 지난 2013~2017년 충북지역에서 발생한 연평균 살인·강도·절도·폭력 사건은 강원지역에서 발생한 1만6천283건보다 조금 낮은 1만6천38건이었다. 이는 마찬가지로 충북과 도세가 비슷한 전북 1만6천860건보다 낮은 수치다.

결국 이춘재, 고유정 사건 등 잇따라 발생한 사건이 청주를 범죄도시로 만든 셈이다.

청주가 경쟁력을 갖춘 도시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지역안전지수 제고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현재 주력산업의 경기침체로 인구 유출이 발생하고 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시민들의 삶 또한 팍팍하다. 지역경제가 뒷받침되지 않을 때 도시 범죄와 자살률이 상승한다는 것은 기본적인 상식이다. 4차산업을 비롯한 신성장동력 산업 발굴로 미래 먹거리를 확보하면서 안전지수 등급을 높여가야 한다. 아울러 자연재해나 감염병 등은 방재시스템을 작동시켜 예방하는 것이 최선인 만큼 청주시는 도시안전을 위해 더욱 노력해야 한다. 전국 최고 안전도시의 대명사가 되기 위해선 시 당국의 적극적인 대응과 함께 시민들의 공동체 의식 함양이 절실하다

범죄는 '법과 제도'를 통해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없다. 법과 제도는 최소한의 기준일 뿐이다. 중요한 것은 법과 제도라는 틀 안에서 생각하고 행동하는 사람이다. 시민의 성숙한 시민의식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다. 하루 빨리 청주가 '범죄도시'라는 오명을 씻고 '나눔과 배려의 도시'로 탈바꿈 하길 간절히 기대한다.

이민우 부국장겸 사회부장
이민우 편집국장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