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칼럼] 이창근 충남문화재단 이사·충북도 무형문화재위원회 전문위원

필자가 고등학교를 다녔던 90년대 당시, 천안의 번화가는 천안 역전의 대흥동 명동거리였다. 현재는 원도심이 되어 천안 도시계획의 화두다.

지난해 12월 문체부의 제1차 법정 문화도시 지정에 천안시가 전국 7개 중 하나로 선정됐다. 큰 경사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전국의 문화도시를 선도하는 첫 주자로 천안시가 출발하게 됐다.

문화도시 사업은 지역별 특색 있는 문화자원을 활용해 지역을 활성화하고 주민의 문화적 삶을 확산하기 위한 중앙정부의 지역문화 진흥사업이다.

천안의 문화도시 사업내용 중 '시민의 문화자주권이 실현되는 문화독립도시 천안'을 비전으로 시민이 주인공이 되는 자주적 문화기반 구축이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일상 속에서의 취향 발견과 실천을 통해 문화 생태계를 조성하고, 나아가 그것을 발신하는 링크(LINK) 전략을 제시했다고 한다.

링크는 라이프(Life)-일상 속 취향의 발견, 아이덴티피케이션(Identification)-문화적 실천과 가능성 실현, 내비게이션(Navigation)-천안 스타일 문화산업생태계, 니팅(Knitting)-천안발 나들목 구축이라는 뜻으로 각 키워드의 앞 글자로 콘셉팅했다고 한다.

제1차 문화도시로 지정된 천안시는 2024년까지 5년 동안 197억5천만 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단순 문화 소비를 넘어 누구나 의지가 있으면 생산자가 될 수 있는 문화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게 된다.

문화적 소외계층이 단순 참여자가 아니라 적극적인 실행 주체가 되어 천안 곳곳의 문화공간을 연결해 문화를 확장하는 도시가 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이 올해부터 추진된다.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운동이 곧 끝나면, 문화를 통해 한 줄기 빛이 될 천안의 희망이다.

문화의 시대가 된 2000년대부터 문화는 지역과 도시의 핵심 요소다. 문화자원을 바탕으로 지역관광이 활성화되고, 낙후된 공간을 문화적으로 재생하고 문화창조력을 높여 지역 발전의 성장동력으로 삼고 있다.

문화시설 같은 하드웨어만을 늘린다고 되는 것은 아니다. 지역사회와 시민의 삶에 긍정적 영향을 주기 위해선 시민들이 참여하고 일상의 문화를 풍부하게 만드는 노력이 중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천안의 문화도시 사업은 바람직한 모델을 제시했다.

제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 문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천안의 문화도시 사업은 문화를 주제로 미래를 키우고 풀어갈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또 문화가 경제가 된다. 즉, 문화가 미래의 먹거리산업이 되어 문화산업으로 지역경제와 일자리를 창출한다.

천안은 현재 시장직이 공석이다. 지난해 11월부터 부시장이 권한대행을 하고 있다. 그래서 이번 4·15총선에 천안시장 보궐선거가 함께 진행된다.

대한민국 경제가 어렵다. 더군다나 코로나19 사태까지 겹쳤다. 이러한 시점에 천안의 새로운 리더십은 교육과 문화를 경제와 연동할 수 있는 정책전문가가 되어야 한다.

천안 문화도시 사업은 문화자치 시대, 독립운동의 역사성을 재해석하여 문화독립도시 지향점을 도출하고, 시민 일상의 문화콘텐츠화와 문화의 산업화를 실현해야 한다.

특히 문화 분야의 소규모 시민참여 사업들이 실제 문화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생활 속에 살아 숨 쉬는 문화적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여 경제를 살려야 한다. 더불어 원도심의 도시재생으로 천안의 명성을 회복해야 한다.

투표는 시민 개개인의 정치적 결단이기도 하다. 유권자의 올바른 선택은 시민의 문화자주권 실현으로 우리에게 밥(경제)을 먹여준다.

이창근 헤리티지큐레이션연구소장·충남문화재단 이사
이창근 충남문화재단 이사

이 밥은 건강한 시민사회도 만들어준다.

천안의 원도심을 재생하고 문화독립도시를 실현할 천안 문화도시 사업은 쉼 없이 추진해야 한다. 문화가 밥이 되어 천안 발전을 이끄는 문화경제, 그것은 오로지 유권자의 선택에 달려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