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부동산 규제 강화… 신규 투자처로 급부상

[중부매일 이완종 기자] 충청권 아파트 가격이 요동치고 있다. 여기에는 수도권과 서울의 부동산 시장이 이중·삼중 규제로 꽁꽁 묶이면서 지방이 새로운 투자처로 뜨고 있기 때문이다.

3일 지역 부동산 업계 등에 따르면 충북 청주, 세종, 대전 등의 아파트 가격이 하늘 높이 치솟고 있다.

◆개발 기대감 상승 '청주'= 충북 청주시는 지난해부터 불어온 아파트 가격 훈풍에 최근 방사광가속기 부지로 선정되는 등 잇단 호재가 겹치면서 높은 가격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앞서 청주의 아파트 가격은 지난 2014년부터 2019년까지 5년간 누적 14%에 달하는 가격 하락률을 보였다. 이 처럼 장기간 가격 하락을 보였던 청주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가격 하락폭이 축소된데 이어 상승 반전했고 올해 초부터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특히 이 기간 눈에 띄는 상승세를 기록한 곳은 청주 흥덕구다. 이 곳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투자자들로부터 '저평가'된 곳이라는 인식이 생겼다. 이에 따라 일부 아파트의 경우 수도권에서 버스를 타고 매물을 보러 오는 '버스투어'도 이뤄진 곳도 있다.

실제로 흥덕구 복대동 신영지웰시티 1차의 전용면적 152.65㎡ 매물의 경우 지난해 중순까지 5억~6억원대를 유지했다. 그러나 하반기 6억원~7억원대로 1억원 이상 뛰었고 올해 5월까지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여기에 최근 총사업비 1조원에 달하는 방사광가속기의 부지로 청주 오창이 최종 선정되면서 아파트 가격 상승에 날개를 단 격이 됐다. 한국감정원 전국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방사광 가속기의 유치 이후인 5월 넷째 주 청주(0.60%)가 전국에서 가장 크게 급등한 지역으로 떠올랐다.

공인중개사협회 청주시 청원구지부 관계자는 "서울 등 수도권에 비해 의무거주기간 등 규제가 없는 상황에서 수천만 원으로 갭 투자가 가능하고 지난 5년간 장기 하락을 경험한 탓에 반등할 수 있는 여지가 많다는 판단 때문에 청주가 주목받고 있는 것 같다"며 "여기에 최근 오창이 방사광가속기 부지로 선정되면서 선정 당시 하루에만 수십~수백통의 문의전화가 이어졌고 가격 역시 최소 1억원 이상 뛸 정도로 화제였다"고 설명했다.

◆신규 분양 메마른 '세종'= 세종의 경우 아파트 공급량이 메마르면서 정부 규제에도 가격 상승이 멈출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앞서 세종은 공무원, 수도권 투자자, 대전 실수요자 등이 몰리면서 수년간 아파트 가격 상승의 정점을 찍은 곳이다. 다만 2017년 서울과 함께 투기지역, 투기과열지구로 묶이면서 하늘 높이 치솟던 아파트 가격이 한풀 꺾였다.

그러나 지난해 말부터 또 다시 집값이 요동치고 있다. 여기에는 쏟아졌던 아파트 공급이 메마르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14년부터 세종시의 아파트 연 평균 입주량은 1만5천가구에 달했다. 지난해에는 공급과잉으로 전세가율(집값 대비 전셋값 비율)이 전국 최하위(37%)를 기록할 정도였다.

하지만 올해 세종시 아파트 예상 입주물량은 기존의 3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든 단 5천 가구뿐이다. 더구나 2022년부터는 연간 2천가구 수준으로 줄어들 것으로 보이면서 신축 단지의 희소가치가 높아지면서 아파트 가격이 뛰고 있다.

◆부동산 규제 '풍선효과(?)' 톡톡 '대전'= 대전의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지난해 8.1%로 전국 15개 광역시·도 중 가장 높다. 2위인 서울(1.1%)의 7.4배에 달한다.

2018년 하반기부터 상승 속도가 빨라진 대전은 최근까지도 가파를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지역별로는 중구(17.5%), 유성구(17.2%), 서구(15.4%)가 높은 상승률을 기록하고 있다.

이 같은 상승에는 정부의 '2018 9.13 주택시장 안정대책'에 따른 세종지역 규제 강화가 반사적 영향을 미치면서 가격 상승을 유발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주택 가격의 단기급등이 잠재돼 있던 구매심리를 자극한 점도 주요 요인으로 손꼽히고 있다.

'대전지역 주택 가격 상승에 대한 평가 및 시사점'을 발표한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관계자는 "대전은 주요 광역시의 주택 가격 변동 추이를 고려할 때 이례적으로 큰 폭으로 상승했다"며 "향후에는 코로나 사태에 따른 경기부진 여파로 상승세가 둔화되거나 혁신도시 지정, 원도심 개발 등으로 가격이 지속상승하는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