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시론] 한병선 교육평론가·문학박사

우리가 대부분 일상에서 느끼는 어려움 중의 하나는 사람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일이다. 부모자식 간의 문제, 부부 간의 문제, 친구 간의 친소문제 등도 모두 관계의 문제들이다. '관계관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갈등이 증폭되기도 줄어들기도 한다. 하지만 관계의 문제는 말처럼 쉬운 것은 아니다. 절대적인 문제가 아닌 상대적인 문제, 어느 한쪽의 일방적인 것이 아닌, 나와는 다른 감정과 생각을 지닌 상대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관계의 문제는 물리적 거리가 아닌 '심리적 거리'의 문제다. 관계관리의 핵심은 고무줄을 당기듯 어떻게 적당한 긴장관계를 유지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고무줄은 양쪽에서 계속 당기기만 하면 끊어진다. 같이 당기지 않으면 더 이상 고무줄로써의 기능을 하지 못한다. 관계관리의 문제도 마찬가지다. 당기기만 해도, 내버려 둔다고 저절로 바람직한 관계가 성립되지 않는다.

고무줄이 끊어진다는 것은 관계의 단절이다. 서로 간에 고무줄을 당기지 않는 것은 관계의 무의미성을 말한다. 부모 자식 간의 문제로 보자. 부모와 자식이 흔히 말하는 '밀당', 즉 밀고 당기기를 제대로 하지 못하면 관계가 어긋난다. 부부가 양보하지 않고 서로 자기 입장만 고집하게 되면 원만한 부부관계를 유지하기 어렵다. 직장에서 모두가 자기주장만 하면 배는 산으로 간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부모 자식 간에, 부부 간에 서로 아무런 관심이 없다면 그것도 이상한 경우다. 친구 간의 관계도 어느 한쪽에서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면 사랑과 우정이 싹트기 어렵다.

고슴도치들은 추우면 서로 가까이 다가간다. 하지만 곧 상대의 가시에 찔려 떨어진다. 그러면서도 또 추위를 느끼고 서로 다가가지만 이내 다시 물러난다. 이런 과정을 반복적으로 거치면서 마침내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서로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도 동시에 따뜻함을 느낄 수 있는 절묘한 거리를 찾아낸 결과다. '너무 멀지도 않게, 너무 가깝지도 않게'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다. 모든 관계는 어느 정도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을 때 최적의 상태가 된다. 가까울수록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교육활동에서도 관계관리는 매우 중요한 덕목이다. 학생들과의 관계관리가 실질적으로 교육의 성패를 결정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예컨대 학생들이 공감하지 못하는 교사의 일방적인 지도나, 마음에 깊은 상처를 남기는 방식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이런 식의 지도보다는 차라리 지도를 유예하는 쪽이 훨씬 낫다. 시간이 지나면서 학생의 반성적 사고를 다시 이끌어 낼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다.

지혜서 '채근담'에 의하면, '모든 일을 지나치게 다그치거나 엄격하게 대하지 말라'고 했다. '너무 따지거나 상대를 이기려하지 말라'고도 했다. 관계에서 따지기를 좋아하는 것만이, 또 이기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란 것이다. 부모나 교사의 권위를 가장 먼저 세워야 한다는 생각을 지닌 경우 이런 권고를 새겨들을 필요가 있다. 물론 교육적으로 마땅히 시시비비를 가려야 할일과 그렇지 않은 일을 구분할 필요는 있다. 하지만 그런 과정에서도 시종일관 가혹하게 따지기를 좋아한다면 그것은 현명한 지도가 아니다. 때론 알면서도 모른 척 하고 넘어가는 것도, 거짓과 진실을 가려야하는 중요한 문제가 아니라면 유연하게 넘어가는 교육적 아량도 필요하다.

한병선 교육평론가·문학박사
한병선 교육평론가·문학박사

상대의 감정을 읽는 것은 관계관리의 일차적인 요소다. 교육현장에서 학생들의 눈치를 보라는 의미가 결코 아니다. 좋은 관계를 맺을 때 좋은 교육적 성과를 얻을 수 있다는 말이다. 상대의 마음을 읽어 이해하고 긍정적인 관계로 이끌어갈 필요가 있다. 그것이 필자가 교육에서 항상 강조하는 '포용적 관계관리' 즉 '포용적 지도'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