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김미정 세종·정부청사 담당 부장

[중부매일 김미정 기자] '부스터 샷', '풀링검사', '에피데믹', '페이스 실드', '코로나레드'….

요즘 언론기사에 종종 등장하는 단어들이다. 모두 코로나19와 관련된 외래어들이다. 하지만 뜻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 시민들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코로나19 장기화 속에서 매일 쏟아지는 코로나 관련 언론보도와 정부의 각종 발표자료들을 보면 이런 외래어가 난무하다. 감염병 앞에서 외래어가 능사일까?

코로나와 관련된 정보는 '국민 누구나'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쉬운 우리말'로 써야 하는 것이 당연하다. 코로나는 그 누구도 피해갈 수 없고, 언제, 어디서, 어떻게 감염될 지 알 수 없기 때문에 낯설고 어려운 용어 때문에 정보에서 소외되는 이들은 없어야 한다.

한글을 잘 모르는 유치원생도, 백발노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가장 쉬운 언어로, 가장 알기 쉬운 표현으로, 가장 접하기 편리한 방식으로, 최대한 자주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최근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이 코로나19 관련 용어들 중 쉬운 우리말로 대체할 단어들을 선정했다.

'부스터 샷(booster shot)'을 대체할 우리말은 '추가접종'이다. '풀링검사'는 선별검사, '에피데믹'은 감염병 유행, '팬데믹'은 감염병의 세계적 유행을 뜻한다. '페이스 실드'는 얼굴가림막, '스니즈 가드'는 침방울가림막, '글로브 월'은 의료용 분리벽 이라는 우리말로 쓸 수 있다.

'n차 감염'은 '연쇄감염', '연속감염'으로, '드라이브스루 진료' 역시 '승차 진료'나 '승차 검진', '차량 이동형 검진'으로 쓰면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진단키트'는 '진단(도구) 꾸러미'로, '비말'은 '침방울'로 쓰면 어떨까.

김미정 세종·정부청사 담당 부장
김미정 세종·정부청사 담당 부장

이렇게 쉬운 우리말이 있는데 굳이 외래어를 쓸 필요는 없다. 예측불허, 절체절명의 국가위기상황에서 낯설고 어려운 외래어 때문에 국민들을 헷갈리게 하고 불안에 떨게 할 것인가?

정부와 언론부터, 지금부터, 우리말로 쉽게 쓰길 권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