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북도가 미래 먹을거리의 하나로 육성하고 있는 이차전지 산업의 역량을 끌어올릴 계획을 세웠다. 지역을 넘어 국가의 핵심 성장동력이 된 이차전지인 만큼 광역지자체 차원의 육성전략에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충북의 이차전지 산업은 국가차원에서 배터리 1등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K배터리 발전전략'의 핵심이다. 이는 지역발전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충북이 'K배터리 시대'를 이끌 수 있다는 것이며 여기에 힘을 쏟아야 하는 이유가 된다. 그런 배경속에서 그 출발점에 선 것이다.

이차전지 등 배터리산업은 이동성과 간편성을 기반으로 한 새 전기·전자기기의 출현과 맞물려 그 시장이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경제성과 친환경이 가장 큰 장점으로 전기자동차가 대표적인 사례다. 더불어 향후 기술발전의 여지가 많고 우리나라의 성장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해 세계적 경쟁에서 앞서기 위한 면밀한 전략과 지원이 필요하다. 이에 충북도가 국가발전전략에 맞춰 세부적 육성방안을 마련한 것이다. 이를 뒷받침하는 것이 국내 유일하게 지정된 이차전지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다.

실제 충북은 국내 이차전지 생산과 수출에서 확실한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세계적 기업인 LG에너지솔루션을 중심으로 핵심소재 기업들이 함께하고 기타 부품·소재산업도 발달해 관련업체들이 집적돼 있다. 이를 비롯해 기술개발에서 실용화 제품생산에 이르는 전주기를 연결하는 클러스터 구축의 최적지이기도 하다. 앞으로 연구개발과 평가시험 등을 위한 인프라까지 구축되면 'K배터리'의 국가적 거점으로 우뚝 서게 된다. 이런 까닭에 정부에서 'K배터리 발전전략'의 발표장소로 충북 오창을 선택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처럼 뛰어난 기반과 여건을 갖췄기에 충북의 'K배터리' 전망은 밝은 편이다. 그러나 모든 게 탄탄대로인 것만은 아니다. 우선 국가적 지원을 지역의 자산으로 만들어 낼 전략이 필요하다. 시간이 흐르고, 지원이 더해질수록 충북의 이차전지 산업과 그 토대가 단단해져야 한다. 충북 자체적으로도 또다른 핵심산업인 바이오와의 역량 분배를 고려해야 한다. 게다가 이들을 뒷받침할 방사광가속기 구축은 시한이 정해진 발등의 불이다. 이들이 결실을 볼 단계에 이르기까지 전폭적인 투자와 지원이 계속돼야만 한다.

반면 현재 충북의 역량은 이를 동시에 소화할 정도가 못된다. 국가적 지원 역시 반도체나 바이오의 경우처럼 뒤통수를 맞을 가능성도 적지않다. 시차와 상황에 따른 대응 등 이를 모두 품는 전략적 접근이 안되면 그 성과가 기대에 못미칠 수 있음이다. 지자체 행정조직을 통한 지원만으로는 부족하다. 지역민의 단결과 한목소리가 필요하다. 최근 최대관심사였던 광역철도망 노선이나 중부고속도 남이~호법 확장 등도 지역 산업역량과 직결돼 있다. 지역의 산업은 지역역량을 받쳐준다. 결국 우리의 역량은 우리 손에 달려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