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송미애 충청북도의회의원

우리나라는 해방 이후 갈등과 전쟁 등으로 사회적 혼란이 가중됐다. 이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 속에 문화재 보존은 관심 밖으로 밀려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현대화 과정의 압축성장기에는 개발 우선주의식 건설공사로 인해 문화재가 소실되는 경우도 비일비재했다. 이후 역사의식의 자각 속에 문화재조사의 사회적인 공감대가 형성되는데 적지 않은 시간이 소모됐다.

문화유산은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사회적?정신적 고리이다. 또한 후손에게 물려 줄 값진 자산이며 민족의 혼과 얼이 담긴 역사의 그릇이다. 때문에 소중한 문화유산의 방치나 훼손은 안 될 일이다. 유무형의 가치, 보존을 통한 미래의 가치를 위해 체계적으로 관리돼야 한다. 현대는 과거의 원초적 의식주시대에서 문화적 향유를 통한 정신적 문화의 시대로 전환되고 있다.

그러나 문화재는 절대 보존만의 대상이 아니다. 보존과 복원, 그리고 건전한 활용, 내포되어진 정신의 계승 등에 대한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각 광역지자체는 문화재 전문기관 설립과 전문부서 설치에 적극 나서고 있다. 충북도민 또한 문화유산의 잠재적 가치에 대한 이해와 문화적 향유를 원하고 있다. 문화에 대한 욕구의 증가만큼 관련 업무의 증가와 일손부족의 문제는 늘 제기되어 왔다. 또한 정부의 문화유산 관련 정책 변화에 따라 신규사업과 예산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충북도 문화재 관리담당부서는 문화행사나 공연, 전시, 영화산업까지 광범위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현재 충북에는 국보 12점을 포함해 보물, 국가지정 문화재, 등록문화재, 도 지정문화재, 문화재자료 등 모두 835점의 지정문화재가 있다. 하지만 이들 문화재를 보존하고 정비·활용 할 문화재업무 담당인력은 한 개 팀에 학예연구사 2명을 포함한 5명이 전부다. 다른 광역단체보다 턱없이 부족하다. 현재의 인력으로는 겨우 문화유산의 보수·정비 등 기본사업만이 추진 가능하다.

더욱이 2021년 '도 등록문화재 제도'신설로 관리해야 할 문화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세계유산으로 등록된 법주사와 직지, 택견 유산 등에 대한 체계적 관리 또한 필요하다. 충북도의회에서는 조례 제정을 통해 문화재 관련 필수업무를 신규로 추진토록 했다. 때문에 제도가 규정한 업무추진을 위해서는 문화재 전담부서 설치가 우선돼야 한다. 문화재 정책은는 과거의 보존에서 정비·활용으로 바뀌고 있다. 더 이상 수리와 보전, 규제를 넘어 도민 모두가 공유하고 계승하며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도 충분하다.

송미애 충북도의원
송미애 충북도의원

충북도 문화유산의 위상은 새롭게 정립돼야 한다. 그리고 효율적 보존과 활용을 통해 문화 관광도시로 전환될 수도 있다. 문화재를 과거에 묻어 두어서는 안된다. 소중한 자산의 미래적 가치를 위해, '늦었다고 생각될 때가 가장 빠를 때'라는 교훈을 잊지 말아야 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