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부시론] 정삼철 충북연구원 성장동력연구부장·충북학연구소장

최근 통계청은 지난해 실시한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이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우리나라 인구 규모는 총 5,183만 명이고, 가구수는 2,148만 가구, 주택수는 1,853만 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구분포는 수도권 인구가 50.2%로 전체인구의 절반을 넘어서고, 수도권의 인구집중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5세 이상 고령 인구의 비중도 '15년 13.2%에서 16.4%로 증가하였고, 외국인 인구는 170만명으로 총인구의 3.3%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지난 '19년 대비 인구증가율이 높았던 지역은 세종, 경기, 제주, 충북 등의 순이고, 인구감소율이 높은 지역은 경북, 광주, 대구, 울산 순으로 나타났다. 고령인구가 유소년인구보다 많은 지역은 전체 17개 시도 중 14개(82.4%), 229개 시군구 중 196개(85.6%)로 저출산 고령화 추세가 뚜렷하였다.

가구수는 '19년에 비해 2.8%가 증가했고, 규모별로는 1인가구 비중이 31.7%로 가장 많았고, 1~2인 가구가 59.8% 비중으로 나타났다. 거처 종류별로는 아파트가 51.5%, 단독주택은 30.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구는 총 37만 가구에 총 109만 명으로 조사되었다. 국적별로는 결혼이민자는 베트남이 가장 많고, 귀화자는 한국계 중국인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수는 '19년에 비해 40만 호(2.2%)가 증가하고, 단독 및 연립주택은 감소하고 아파트는 증가해 전체주택의 62.9%(1,166만 호)를 차지했다. 주택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경기, 서울, 경남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전체주택 가운데 20년 이상 된 주택이 49.1%(910만 호)로 아파트(42.7%)보다 단독주택(73.6%)이 훨씬 많았다. 노후주택 비율이 높은 곳은 전남(62.9%), 전북(61.0%), 경북(59.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 빈집은 151.1만 호로 '19년 대비 0.4%(7천호)가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충북의 경우에 총인구수는 163.2만 명으로 '19년보다 0.2%가 증가해 전국대비 3.1%의 점유 비중을 보였다. 시군별로는 청주가 52.4%인 85.5만 명으로 전체인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해 수도권보다 높은 인구집중도를 보였다. 그다음은 충주가 21.8만 명(13.4%), 제천이 8.3%(13.5%) 등의 순이고, 단양이 2.8만 명(1.7%)으로 가장 적었다. 65세 이상의 고령인구 비율은 '19년 16.9%에서 '20년에는 17.7%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충북의 가구수는 총 69.6만 호로 '19년 대비 2.5만 가구가 증가해 전국대비 3.2%의 비중을 보였다. 가구원수 규모별로는 1인가구 비율이 34.8%로 가장 많았다. 주택종류별로는 아파트가 49.0%로 가장 많았고, 단독주택은 42.1%로 나타났다. 고령자 가구 비율은 29.3%이고, 고령자 1인가구 비율은 9.1%로 나타났다. 충북의 다문화가구는 전국대비 3.1% 비중으로, '19년에 비해 4.4%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충북의 주택수는 64만 호로 '19년 대비 2.3%가 증가하였다. 주택의 종류는 아파트가 59.8%, 단독주택이 32.8%를 차지하였다. 20년 이상 된 노후주택은 총 32.3만 호(53.6%)이고, 30년 이상 된 주택도 14.3만 호(22.4%)로 나타났다. 또한, 충북의 빈집 수는 총 7.7만 호이고, 30년 이상 된 것이 전체 빈집의 32.7%(3.5만 호)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에 충북의 지속 가능한 미래성장과 발전을 위해서는 조사결과에서 드러난 과제들을 명확히 인식하고 이를 극복해 나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정삼철 충북연구원 성장동력연구부장
정삼철 충북연구원 성장동력연구부장·충북학연구소장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 충북의 미래발전 과제는 첫째, 수도권 집중보다 심각한 인구의 청주권 집중에 대한 불균형의 문제를 적극 해결해 나가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고령 인구와 1인가구 증가에 따른 선제적 정책대응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셋째, 증가하는 노후주택과 빈집 증가에 따른 정주 및 주거환경 정비와 개선대책을 강화가 요구된다는 점이다. 넷째,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 가구의 안정적인 정착지원을 위한 대응책을 강구해 나가야 한다. 그래야만 충북의 혁신적인 성장과 지속 가능한 미래발전을 담보해 나갈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