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조혜경 풀꿈환경재단 이사

'우리나라 사람들은 현재의 환경상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그리고 본인의 환경의식에 대해서는 몇점 정도의 점수를 줄까? '

이런 궁금증을 풀어주는 설문조사가 매 5년 단위로 이루어지고 있다. 2018년 환경부가 발표한 '환경보전에 관한 국민의식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환경문제에 관심이 많고(일반국민의 78.6%), 현재의 환경상황에 대해서는 약 54.8점 정도로 평가하고 있으며(100점 기준), 환경의식은 일반국민 기준 53.7점, 본인 기준 57.1점으로 개인의 환경의식이 전체보다 높게 평가되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5년 전에 비해 환경문제에 대한 국민의 관심도는 떨어지고(-13.2), 환경상황에 대한 인식은 더 긍정적으로 변모했으며(+4.8점) 개인의 환경의식과 전체의 환경의식 차이는 한층 좁혀지는 추세(-11.8)를 나타냈다.

그러나 2030년까지 75점의 환경의식을 갖게 하겠다는 정부의 목표와는 정반대로 개인의 의식수준이 변모해 난감한 상황이다. 적어도 더 나은 미래를 위해서는 환경문제에 대한 국민 관심도가 높아져야 하고 국민 개개인의 환경의식 역시 동반 상승해야 한다는 점에서 뒤로 가는 의식수준의 변화는 새로운 문제라 아니할 수 없다.

환경교육활성화법은 이러한 문제타개를 위해 만들어진 법이라고 할 수 있다. 2021년 1월에 제정된 '환경교육의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은 기존 환경교육진흥법의 전부개정 및 학교환경교육에 대한 지원 강화, 사회환경교육 촉진 등의 사업을 통해 모든 국민의 환경학습권 보장 및 기후변화 대응능력 향상 등을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가진다. 국가와 지역사회의 환경보전 및 지속가능한 발전에 이바지하게 함을 궁극적 목적으로 하는 법 제도의 개편은 한편으로는 지역사회의 참여와 관심을 유도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환경교육에 대한 수요와 공급을 창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지역현실은 사뭇 다르다.

예컨대 2021년 충북도 환경교육센터가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도내 11개 지자체 중 환경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자치단체는 5~6개 정도에 불과하며 이중 절반 정도만이 성인대상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환경 강사의 수도 전체의 75%가 청주시에 집중돼 교육기회의 양적, 질적 차이가 발생하고 이를 개선할 구체적인 방안도 현재로서는 뾰족한 수가 없다. 지자체별 현실인식이나 처한 상황이 다르기 때문이다.

또한 환경교육이 단순히 자격증만으로 해결될 수 없다는 점에서도 문제가 있다. 예컨대 2018년 우리 국민은 대다수가 지구온난화·기후변화를 가장 심각한 환경문제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그 불안정도는 성별, 연령별, 지역별 차이가 발생하고 시민의 참여정도도 지역별, 분야별 편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흐름은 실제 환경이 글로벌 의제이면서 지역적 특성이 가장 잘 반영된 해결과제라는 점에서 기인하는 듯 하다.

조혜경 풀꿈환경재단이사
조혜경 풀꿈환경재단이사

충북지역의 경우 도민 환경 체감도는 5점 만점에 39.2점으로 중간 값 이상을 상회하는 정도에 위치하고 있으나 청주, 진천지역의 경우 대기, 소음·진동에 취약성을 나타내고 단양군은 대기, 수질환경에 만족도가 낮다는 특성을 가진다. 또한 시민실천 활동도 '환경 및 자연보호운동참여'가 가장 낮게, '재활용품 분리배출'이 가장 높은 수준에서 이루어져 분야별 활동증진 및 실천행동의 결과물 발표 등이 정책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환경교육으로 제시된다면 도민환경의식향상, 일반 국민의 환경보전에 관한 의식이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을 것이고 지역사회의 참여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더 나은 미래를 향한 의식수준의 변화는 지역사회의 참여활동과 더불어 시민행동을 이끌어낼 정책 환경의 변화로부터 시작되는 듯하다. 충청북도의 환경교육이 다양한 상황을 고려한 포괄적 정책과제로 제시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