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박상철 사회경제부 기자

'내 월급 빼고 다 오른다'라는 말이 요즘처럼 실감난 적이 있을까? 연초부터 물가가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서민들 지갑은 더욱 팍팍해지고 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4%를 기록하면서 1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야말로 '헉'소리 나는 물가 상승이다.

무엇보다 삼겹살 한 근 가격이 2만 원에 육박하는 등 밥상물가 상승세가 심상치 않다. 실제 농축산물을 비롯한 신선식품 가격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약 15% 치솟은 것으로 나타났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국제유가·곡물가격 급등 등 정부가 예상치 못한 변수가 생기면서 물가는 예상보다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원자재 가격 상승은 외식비, 서비스 물가 등을 전방위로 자극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2022년 경제전망'을 통해 올해 물가 상승률 전망치로 2.2%를 제시했다. 하지만 지난달 물가 상승률이 5.4%를 기록할 정도로 물가가 치솟으면서 기존 전망치인 2.2%는 현실과 동떨어진 수치가 됐다. 전년 동월 대비 물가상승률은 올해 1월 3.6%, 2월 3.7%에서 3월 4.1%, 4월 4.8%로 상승 폭을 매달 키우고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윤석열 대통령은 취임 후 처음 주재한 참모진과의 회의에서 지금 한국경제가 당면한 최대 난제를 '고물가'로 꼽고 물가 상승의 원인과 억제 대책을 찾으라고 지시하기도 했다. 하지만 정부도 딜레마다. 서민 생활을 위협하는 물가부터 잡는 것이 최우선 과제지만, 물가를 잡기 위한 긴축 뒤에는 경기 둔화가 뒤따를 수 있기 때문이다.

박상철 사회경제부 기자
박상철 사회경제부 기자

경기와 물가 두 마리 토끼를 다 잡기는 쉽지 않다. 하지만 이제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 경기 둔화 가능성을 우려해 현 인플레이션(화폐가치에 따른 물가 상승)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으면 1970년대와 같은 스태그플레이션(경기불황 속 물가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각 정책당국은 머리를 맞대고 정답(正答)이 아닌 해답(解答)을 찾아야할 때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