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민선 8기 지방자치 시대가 막을 열었다. 전국 17개 광역지자체와 시·도교육청, 226개 기초지자체 단체장들은 지난 1일 일제히 취임해 공식 업무를 시작했다. 광역의원 872명, 기초의원 2천 988명 등 총 3천 860명의 지방의원도 임기를 시작했다. 상당수 지자체장의 취임 일성을 살펴보면 '소통과 혁신'에 방점이 찍혀 있다. 글로벌 경제위기 속에 지방시대의 기틀을 새롭게 다지겠다는 취지가 읽힌다.

특히 이번 6·1 지방선거를 통해 지방권력이 재편된 가운데 시작하게 된 민선 8기는 민심을 읽고 경제를 회복하는데 행정의 포커스를 맞출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런 구호가 지방자치가 시행된 지 32년동안 용두사미로 끝나는 일이 많았기 때문인지 그리 미덥지는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화의 시간'을 맞이하게 된 지방시대에 일말의 희망은 보인다.

이는 김영환 충북도지사부터 이범석 청주시장 등 충북의 새로운 수장들의 취임사를 통해 가늠할 수 있다.

'새로운 충북, 신나는 도민'을 통해 자기를 낮추고 도민을 섬겨 이신작칙(以身作則)의 표상이 되기를 고대한다는 김영환 도지사, '더 좋은 청주, 행복한 시민'을 구현하기 위해 자세를 낮추고 귀를 열겠다는 이범석 청주시장, 바다는 어떠한 물도 사양하지 않는다는 '해불양수(海不讓水)'의 겸허한 자세로 경청하겠다는 윤건영 충북도교육감까지 새로운 미래를 열겠다는 각오를 다졌다.

민선 8기 지자체장들이 임기를 시작하는 이 시기는 4년전보다 더 열악하고 녹록지 않은 현실을 맞닥뜨리고 있다.

2년 넘게 이어오고 있는 코로나19 사태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불러온 경제위기, 갈길 먼 지역균형발전 정책은 지방소멸 위기로 이어지고 있다. 이는 통계청이 지난달 29일 발표한 'KOSTAT 통계플러스' 여름호에 실린 '도시 성장의 불균형, 지방 도시가 사라지고 있다' 보고서에도 나와 있다. 지역별로 서울은 전체의 89.8%가 도시로 분류됐는데 전체의 99.8%(911만2천904명)가 거주했다. 광역시의 도시 면적은 20.1%였는데, 인구의 91.7%가 살고 있었다. 반면 비도시 지역은 전체의 93.3%였지만 인구 비율은 9.2%에 불과했다. 전국 250개 시군구 중 옹진군 등 11개군은 도시와 준도시가 없었다는 게 현실이다.

충북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지방소멸 위기를 해결하지 못하면 지방자치 존립마저 위태로울 수 있다. 지역 특색에 맞는 성장·발전 모델을 찾는데 총력을 기울여 활로를 모색해야만 한다. 특히 이탈하는 청년층을 붙잡을 수 있는 묘책이 절실한 때다. 지방거주 지원금이나 장학금 제도를 행정적으로 뒷받침해 청년층이 머물 수 있는 '유잼도시' 만들기에 사활을 걸어야 한다.

단체장들은 이제 점령군이 아닌 '지역 세일즈맨'으로 거듭나 주민을 위한 특급도우미를 자처해야만 한다. 임기 4년 동안 주민과 지역발전을 위해 헌신해야 한다. 초심을 잃지 말고 주민을 위한 길이 무엇인지 생각하며 한발한발 내딛기를 바란다.

키워드

#사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