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아파트 평균 전셋가율 75.4% 기록
충남 78%·충북 77%·대전 65%·세종 46%

KB부동산 6월 아파트 전세가율 자료. /KB부동산
KB부동산 6월 아파트 전세가율 자료. /KB부동산

[중부매일 박상철 기자] 지방 '깡통 전세' 리스크가 커졌다. 다세대주택은 물론 저가 아파트도 전셋값이 매매가보다 높은 '역전세 현상'이 속속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5일 KB부동산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수도권과 광역시를 제외한 지방의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전세가율)은 75.4%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7월(75.5%) 이후 약 1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부동산 업계에서는 통상 전세가율이 70~80% 이상이면 깡통전세 위험이 크다고 본다.

깡통전세는 전셋값이 매매 가격보다 높거나 비슷한 매물을 뜻한다. 다시 말해 집주인이 집을 팔아도 세입자는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할 위험이 있는 전세를 말한다.

예를 들어 10억원대 집 전세금이 7억~8억원 이상인 셈으로 만약 집값이나 전셋값이 하락하면 임대차계약 만기 후에 집주인이 신규 세입자를 구하지 못할 경우 기존 세입자가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할 위험이 있다.

KB부동산이 공개한 6월 아파트 전세가율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충남 78.9%, 경북 78.6%, 충북 77.0%, 강원 76.8%, 전남 75.5%, 경남 75.4%, 전북 74.9% 순으로 나타났다.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전세가율 80%이상을 보이는 지역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의 5월 전세가율 통계자료를 살펴보면 전남 광양 85.0%, 충북 청주 서원구 84.3%, 경기 여주 84.2%, 충남 당진 83.5%, 전남 목포 83.4%, 경북 포항 82.9% 등으로 조사됐다.

특히 이런 지역들은 외지인 갭투자가 성행했던 곳이다. 깡통전세 물량이 쏟아져 나올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갭 투자란 시세차익을 목적으로 주택 매매가격과 전세금 간 차액이 적은 집을 전세를 끼고 매입하는 투자 방식이다.

한편 전세금 보증사고는 2015년부터 구체적인 집계를 시작한 이래 2017년 이후 폭증하는 추세다. 2017년 74억원에 불과했던 피해액은 2018년 792억원, 2019년 3천442억원, 2020년 4천682억원, 2021년 5천790억원으로 증가했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