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만 0.01% 상향전환… 세종, -0.18% 하락폭·전세값도 하강국면

8월 1일 기준, 전국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율/한국부동산원
8월 1일 기준, 전국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율/한국부동산원

[중부매일 박상철 기자] 한국은행 빅스텝(기준금리 0.5%p 인상) 단행으로 전국적인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고 있다. 덩달아 집값 하락세가 점차 가팔라지고 있다. 특히 지난달 수도권 지역 아파트값은 0.12% 떨어졌다. 3년여만에 가장 큰 하락 폭이다. 철옹성으로 여겨졌던 서울 강남과 서초 지역 집값 마저도 하락세다. 충청권 집값 역시도 본격 하락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이 8월 첫째주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 -0.06%, 전세가격 -0.05%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수도권(-0.08%→-0.09%)과 하락폭이 확대됐다. 지방(-0.04%→-0.04%)·5대광역시(-0.07%→-0.07%)·8개도(-0.01%→-0.01%)은 하락폭을 유지했다. 특히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31→28개)은 감소, 보합 지역(14→16개) 및 하락 지역(131→132개)은 증가했다.

충청권 집값도 하락세다. 시·도별 아파트 매매지수 가격 변동을 살펴보면 ▷대전 -0.10% ▷세종 -0.18% ▷충남 -0.02%를 기록한 반면 충북만 7월말 -0.03%에서 0.01%로 상향 전환됐다.

세종의 경우 전국에서 가장 큰 폭에 하락률을 보였다. 이유는 신규 입주물량 및 매물 적체 영향 지속된 것으로 풀이된다.

현 부동산 시장은 금리가 지속해서 오를 것이란 전망이 퍼지면서 아파트 매수세가 위축한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대단지 아파트에선 '매수자 실종'에 따른 가격 하락 현상이 뚜렷하다.

이런 가운데 충청권 시도별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변동률도 전 지역 하강 국면을 맞고 있다. 높은 전세가격과 전세대출 이자 부담으로 월세전환 문의가 증가한데다 여름 휴가철 영향으로 전세수요 감소세 이어졌기 때문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대전 -0.14% ▷세종 -0.28% ▷충남 -0.03% ▷충북-0.02% 하락했다.

특히 부동산 규제 지역으로 묶인 충청 지역 주간 아파트 하락률이 두드러졌다.

이달 1일 기준 ▷대전 동구 -0.03%, 중구 -0.07%, 서구 -0.16%, 유성구 -0.10%, 대덕구 -0.05% ▷세종 -0.18% ▷충남 천안 동남 -0.01%, 천안 서북 -0.02%, 공주 -0.12%, 논산 0.10% ▷충북 청주 상당 -0.03%, 청주 서원 -0.01%, 청주 흥덕·청주 청원 0.00%로 나타났다.

전세가율 역시도 대전, 세종, 충남, 충북 대부분 지역이 최대 -0.28%에서 최소 -0.01%대 하락세다. 단 공주와 논산이 각각 0.02%, 0.00%로 강보세를 보였다.

익명을 요구한 청주 소재 한 공인중개사 관계자는 "금리 급등, 대출 규제, 집값 고점, 주택구매심리 악화로 아파트 가격이 떨어지고 있는데 금리 추가 인상이 예고됨에 따라 올 하반기에는 본격적인 하락 국면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윤창규 한국공인중개사협회 충북지부장도 연말까지 부동산 가격이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현재 충청권 많은 지역이 규제지역으로 묶인 상태에서 금리까지 지속적으로 인상되다 보니 많은 사람들이 부동산 투자보다는 관망세를 유지하고 있다"며 "이미 대출을 받아 집을 산 사람은 높아진 이자 갚기에 급급하고, 대출을 받아 집을 사야하는 사람도 높아진 금리에 망설이면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악순환이 연속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부동산 시장이 죽으면 경기가 살아날 수 없기 때문에 정부를 빠른 시일 내 규제를 풀어야 한다"며 "세종과 청주에서 분양가 대비 많이 오른 곳은 떨어질 수밖에 없고, 정확한 예측을 할 순 없지만 올 연말까지는 지속적으로 집값 하락세가 유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윤석열 정부 첫 주택공급대책이 9일 발표된다. 윤 대통령 대선 공약인 '250만호+알파(a)' 주택공급 계획과 함께 새 정부 부동산 정책의 근간이 담길 것으로 전망된다. 우선 임기 5년간 250만 가구 이상의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한 대책이 총망라된 것으로 알려졌다.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와 안전진단 등 기존 민간 공급 규제를 풀어 정비사업에 활로를 뚫는 등 구체적인 물량 보다는 규제 완화를 통한 공급 확대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