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화학공학과 이상엽 특훈교수 연구팀, 값싼 탄소원인 글리세롤 이용
대사공학 기술 이용해 미생물 기반의 의약품·영양보조제 등 생산 기대

루테인 생산 대사회로 조작 모식도. /KAIST
루테인 생산 대사회로 조작 모식도. /KAIST

[중부매일 나인문 기자] KAIST 이상엽 특훈교수 연구팀이 '루테인을 생산하는 미생물 균주 개발'에 성공했다.

루테인(lutein)은 눈을 산화 손상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는 영양물질로 계란의 난황과 과일 등에 함유돼 있다.

특히 루테인은 노안, 백내장 등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어 눈 영양제로 많이 판매되며, 화장품과 동물사료에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노령화와 전자기기 사용 시간 증가에 따라 루테인의 수요와 시장 규모가 급속히 증가하는 추세다.

해당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네이쳐 카탈리시스(Nature Catalaysis)'에 8월 4일 게재됐다.

현재 시장에 공급되고 있는 루테인은 주로 금잔화(marigold) 꽃에서 추출해 생산되지만, 금잔화 꽃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넓은 대지와 시간, 많은 노동력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대량으로 공급하는데 한계가 뒤따랐다. 그 대안으로 화학적 합성 방법도 제시돼왔지만, 비대칭적인 화학 구조와 다양한 이성질체의 존재로 인해 비효율적이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루테인을 친환경적이며 고효율로 생산하는 미생물 세포 공장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이뤄지고 있다. 시스템 대사공학은 효과적인 미생물 균주 개발을 위해 필요한 핵심 전략으로, 이상엽 특훈교수가 창시한 연구 분야다.

이상엽
이상엽

KAIST 이상엽 특훈교수 연구팀은 미생물의 대사회로를 조작하는 기술인 대사공학을 이용해 대장균 내 루테인 생산 대사회로를 구축했으며, 이로써 값싼 바이오매스의 주원료인 글리세롤을 탄소원으로 사용해 고부가가치의 루테인을 생산하는 대장균 균주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연구에 참여한 LG화학 박선영 박사는 "천연자원으로부터의 비효율적인 추출법을 대체할 수 있는 미생물 기반의 고효율 루테인 생산 기술을 개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며 "이번 기술을 활용해 미생물 기반의 의약품, 영양 보조제 등의 제품을 만드는 데 한 단계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키워드

#KAIST #미생물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