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욱 잦아지고 규모가 커지는 재난에 대한 조직·인력 확충에 대한 목소리가 불거지고 있다. 더욱이 광역자치단체는 물론 기초자치단체는 이 같은 재난에 취약해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실제 올 집중호우에 부실한 재난대응체계가 여실히 드러났다. 무려 14명의 희생자가 발생한 청주 오송 궁평2지하차도 참사는 경찰, 충북도, 청주시 등 어느 한 곳에서 통제만 했어도 발생하지 않을 것이란 인재(人災)·관재(官災)라는 지적이다. 이들 기관에 수 십 번의 신고가 접수됐지만 어느 곳 하나 재난 시스템이 작동하지 못했다. 결국 이 같은 재난 사태를 제대로 인식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활할 전문 인력과 조직이 부족하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지난 26일 기상청은 장마가 끝났다고 밝혔다. 장마 기간 누적 강수량은 648.7mm로 집계됐다. 기상관측이 시작된 1973년 이후 세 번째로 많은 수치다. 종전 기록은 2006년(704㎜), 2020년(701.4㎜)다. 강수량은 역대 3위지만 강수일수 대비 강수량(강우강수)을 역대 1위 기록으로 확인됐다. 7월 13~18일 390.5㎜의 비가 내렸다. 이는 충북 연평균 강수량(1천261.3㎜)의 33% 수준이다. 이 같은 집중호우는 충북을 비롯한 전국에 많은 아픔을 남겼다. 앞서 충북은 지난 2017년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었던 경험이 있다. 기상이변으로 세계 곳곳이 몸살을 앓고 있다. 이 같은 기상이변은 다른 나라에는 국한되지 않는다. 집중호우 등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이변을 '뉴노멀(새로운 기준이 보편화하는 현상)'로 받아들여 새로운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은 이유다.

오송 참사 등으로 부실한 재난 대응체계가 여실히 드러났다. 특히 재난 컨트롤타워 부재가 문제점으로 지적되기도 한다. 발생하는 재난 형태가 다양하다. 폭우, 폭염, 홍수, 태풍 등 재난상황에 따라 대책도 달라야하고 대응체계도 변화해야 한다. 자치단체의 경우 현재는 자치단체장이 이를 모두 관활하고 있지만 실제 상황이 닥쳤을 때 효과적으로 대응하기는 어려운 구조다. 재난 담당 부서에는 방재안전직 등 재난 관련 공무원도 있지만 보직에서 옮겨온 일반직 공무원이 더 많다. 재난 전담 부서의 전문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인사 시기도 문제다. 올 집중호우처럼 해마다 7월 초·중반 집중호우가 발생하는 상황에서 자치단체 인사는 7월 1일자도 단행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재난관련 부서 직원이 발령받은 후 불과 한 달도 되지 않은 상황에서 큰 재난 상황이 발생한다. 대처 능력이 떨어지는 구조다. 이제 재난상황에서 선제적·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역 맞춤형 재난 대응 체계를 확립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자치단체에 전문적인 재난 안전 조직·인력이 확충이 선행돼야 한다. 더 이상 오송 참사와 같은 인재·관재는 없어야 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