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모를 위해 사용되는 플라스틱 폐조화가 지구를 위협하는 환경쓰레기의 원흉이 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국립 대전현충원에서 버려지는 플라스틱 폐조화만 연간 100t의 거대한 쓰레기로 버려진다니 아연실색하지 않을 수 없다.

이곳에서 나오는 폐조화는 최근 5년간 무려 449t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구나 폐조화 처리비용이 1억 4200만원에 달한다니 자원 낭비와 환경오염을 막기 위한 대체방안 마련이 절실하다.

국회 정무위 소속 횡운하(더불어민주당, 대전 중구) 의원이 국가보훈부로부터 제출받아 11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올 9월까지 대전현충원에서 발생한 폐조화는 총 449t규모로, 폐조화 처리를 위해 1억 4천200만원의 예산이 소요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폐조화 발생량은 2019년 95t, 2020년 78t, 2021년 108t, 2022년 92t이다.

올해에도 9월 기준 76t이 발생, 해마다 90여t가량의 폐조화 쓰레기가 발생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대전현충원은 오랫동안 매년 쓰레기 발생량 증가로 환경오염 및 쓰레기 처리비용이 증가하고 묘역 내 조화가 전체 쓰레기의 90% 이상을 차지해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발빠른 대책이 나오지 않았다는 것은 유감이다.

대전현충원은 최근 조화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조화 한묶음만을 꽂을 수있도록 한 입구가 작은 돌로 만든 화병으로 대체하고 있는 중이라고 알려졌다. 그러나 이것만이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 분명한 대책을 실행해야 할 절대절명의 시점이다.

플라스틱 폐조화 쓰레기 양산이 비단 대전현충만의 일은 분명 아니다. 전국적으로 산재해있는 곳곳의 추모공원 등에서 발생되는 폐조화 플라스틱의 환경쓰레기는 상상을 초월하는 사회문제일 수밖에 없다.

국가보훈부는 신속히 자연적으로 분해되는 능력을 갖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추모용 조화를 생산할 수 있도록 적극 유도해야 한다.

일반 플라스틱은 석유 추출 원료를 결합시켜 만든 고분자 화합물로 값이 싸고 가공도 쉬우며 활용도가 다양한 이점을 갖고 있으나 난분해성 물질로 폐기 처리에 어려움이 많다.

이에 반해 '생분해성 플라스틱(또는 바이오플라스틱)'은 토양의 박테리아나 다른 유기생물체에 의해 분해되며, 광분해성이나 생붕괴성 플라스틱을 포함한 넓은 의미로 정의된다.

1992년 6월 리우유엔환경회의에서 채택된 기후변화협약(UNFCCC)을 이행하기 위해 1997년 국가간 이행협약인 교토기후협약에 따라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미국, 일본, 유럽연합 등 회원국은 온실가스 감축을 요구받고 있으며 2015년 파리협정까지 국제적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2년 11월 비준했으며 OECD 회원국중 하나로 우리나라의 높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고려할 때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개발과 사용 확대 등을 통한 노력이 요구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