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뜨락-김재영 전 청주고 교장^칼럼니스트

무심천의 상춘인파가 몰리던 때가 어제 같은데 산과 들은 녹색으로 바뀌고 7월이 되었다. 해가 바뀌면 선거철이 된다. 정치판에는 벌써 부터 말의 성찬이 한창이다.

정치적인 문제들이 여·야의 원만한 대화로 잘 풀리고 경제가 나아져서 민생 문제가 해결되기를 기대하는 민초(民草)들을 외면한 채 식언(食言)을 일삼는 사람이 늘어가는 오늘, 사기(史記)에 나오는 계포일낙(季布一諾)이란 말이 생각난다.

계포는 항우와 유방이 천하를 다툴 때, 항우의 대장으로 용맹을 떨쳤던 인물로 자신이 한 약속은 반드시 지키는 신의(信義)있는 사람이었다. 항우가 유방에게 패한 후, 유방은 천금의 현상금을 걸어 계포를 수배하고 그를 숨겨 주는 사람은 그의 삼족을 멸한다고 했으나 그를 신고하는 자는 없고, 오히려 그를 중용하기를 권했다.

그 후 계포는 유방의 조정에서 벼슬을 하며 모든 이의 신임을 한 몸에 받았다. 흉노의 선우가 최고 권력자 여태후를 깔보는 편지를 보내오자, 상장군인 번쾌는 "내게 10만 병력만 주시면 흉노족을 혼내 주겠다"고 했다. 이때 계포는 소리치기를 "번쾌의 목을 자르십시오, 한 고조께서도 40만 대군으로 대적했으나 포위당한 적이 있는데 10만 군대로 흉노를 응징하겠다함은 망발이며 번쾌는 아첨으로 나라를 시끄럽게 한다"고 하자, 모두들 얼굴이 새파랗게 질려 계포를 염려했으나 그 후 권력자인 여태후는 다시는 흉노토벌 이야기를 하지 않았다.

그 후 변설가인 조구가 "초나라 사람들은 황금 백 냥을 얻는 것보다 계포의 한 마디 승낙인 계포일낙을 받는 게 낫다"는 고사(故事)에서 "한 번 약속하면 반드시 지킴"을 뜻하는 말로 쓰이고 있다.

사기에는 이목지신(移木之信)이란 말이 나온다. 진(秦)의 명재상인 상앙이 법률을 제정한 후에 즉시 공포하지 않고 백성들에게 믿음을 주기위해서 그는 남문에 길이가 약 9M인 3장(丈)에 이르는 나무를 세워 놓고 "이 나무를 북문으로 옮기는 사람에게는 십금(十金)을 주겠다"고 써 붙였으나 옮기는 사람이 없자, 오십금(五十金)을 주겠다고 써 붙이자 옮기는 사람이 있자, 상앙은 즉시 오십금을 주고 법률을 공포하자 백성들은 법을 잘 지켰다고 한다.

오늘 우리는 불신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조삼모사(朝三暮四)라고 "말재간으로 남을 속인다"는 뜻의 고사도 떠오른다. 남을 믿다가는 낭패를 보는 게 오늘의 현실이다.

논어에 무신불립(無信不立), "믿음이 없으면 설 수 없다"고 하지 않는가. 믿음 속에 살아가는 풍토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고향의 신문인 음성신문에 졸필(拙筆)이지만 을유년(乙酉年) 휘호로 논어의 주충신(主忠信), "성실과 믿음을 근본으로 삼자"는 말을 써 드렸다.

이제 사회지도층 인사들부터 계포일낙(季布一諾)이란 말을 명심하여 식언(食言)을 하지 말고 언행이 일치하는 모범을 보여 우리 모두가 믿음 속에 서로 의지하며 난국을 헤쳐나가는데 국민 모두가 하나가 되기를 기대하며 여름을 지낸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