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연 칼럼] 박상연 논설실장·뉴미디어국장

하루가 멀다하고 학교폭력 대책이 쏟아진다. 각 부처들이 대책을 발표하고 전문가들도 나름대로의 처방전을 내놓는다. 지난 2004년 제정된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에다 다시 옷을 입힌 수준이다. 학교폭력은 연일 터져나오고 있고, 청주에서는 경찰이 한 중학교에서 폭력·갈취 서클(조직) '일진회'를 적발한 것을 놓고 학교및 학생들이 서클 존재를 부인하고 나서는 등 '일진회' 공방을 벌이고 있다.

나라가 온통 학교폭력 문제로 시끄럽다. 서둘러 정부가 학교폭력을 뿌리뽑기 위한 종합대책을 내놨다.

학교폭력의 근본적 원인은 인성교육이 형식화된 교육현실을 반성한다는데서 출발한다는 점이다. 또 학교내 '사소한 괴롭힘'도 '범죄'라는 인식과 함께 피해자 보호를 최우선하고, 학교폭력이 은폐되지 않도록 철저하게 대응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학교장은 가해학생 출석정지 조치 및 격리 교육을 할수 있도록 하는 대신 학교폭력 은폐시 학교장 징계를 하도록 했다. 담임교사의 1대1 면담 강화, 복수담임제와 가해학생 처벌대책도 빼놓지 않았다.

그러나 일선 현장에서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중학교 체육활동 확대' 에 대해 일선 교사들은 당장 체육시간을 늘리기가 어려운 상황이라며 반대하고 있다. '복수담임제'는 복수 담임간 업무영역이 모호해 혼란을 야기할 것이라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최근 이슈가 된 '일진' 대책은 아예 빠져있고, 말로만 거창한 '땜질식 처방'이란 목소리도 높다.

분명 학교폭력 대책은 제대로 마련해야한다. 그동안 학교나 사회에서 이 문제를 방기한 부분도 인정해야한다.

하지만 학교폭력 문제를 좀 더 근본적인 시각에서 접근해볼 필요가 있다. 정부 발표대로 정말 학교폭력 문제가 '인성교육'의 문제에서 출발한다면 근본 대책도 바뀌어야 한다.

전문가들은 유아·청소년기 잘못된 자아개념 형성이 청소년 문제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한다. 더불어 가족과 함께 식사를 하며 대화를 얼마나 많이 하느냐가 학생들의 인지적·정서적 발달에 중요하다는 것이다. '밥상머리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전통사회에서 식사 자리는 밥만 먹는 자리가 아니었다.

가족간의 예의와 소통, 어른들의 가르침을 배우는 자리이기도 했다. 어린시절 조부모 또는 부모와 겸상하며 식사할때 어른이 먼저 숟가락들 들고 나야 아이들이 숟가락을 들을 수 있었다. 고등어 생선 한 토막도 어른이 우선이었다. 요즘 밥상머리에서는 모든게 아이가 우선시되고 있다. <사자소학>의 "그릇에 음식이 있어도(기유음식:器有飮食), 주시지 않으면 먹지 말라(불여물식:不與勿食)"는 말은 통하지 않는 시대다.

유대인들도 밥상머리 예절과 교육을 강조한다. 유대인 가정에서 아버지는 퇴근후에 자녀들과 함께 보낸다. 하루 일과에 대해 대화하고 시간이 나면 독서를 한다. 유대인 아버지는 성인식을 치르기전까지는 학교교육과는 별도로 자녀에게 역사와 율법, 도덕교육을 가르친다. "가족식사를 많이 하는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동급생에 비해 학업성적이 A학점을 받는 비율이 2배 높고, 청소년 비행에 빠질 확률은 50% 감소한다"는 미국 컬럼비아 약물오남용예방센터의 연구결과(2003년)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우리의 현실은 어떤가? 식구가 다 함께 식탁에 둘러앉아 밥 먹는 경우가 드물다. 일찍 출근하는 아버지, 고3자녀와 등하교 시간이 다른 형제들, 혼자서 밥먹고 학교가기도 바쁘다. 이런 상황에서 밥상머리 교육은 불가능해 보인다. 그런데 이번 학교폭력 대책에 이례적으로 '밥상머리 교육 범국민 캠페인(수요일,주말)'이 포함되었다고 한다.

역시 '교육은 밥상머리에서 시작된다'는 옛말이 새삼 실감이 난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