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연 칼럼] 박상연 논설실장·뉴미디어국장

2012여수엑스포가 끝나자마자 '적자 엑스포' 논란으로 시끄럽다. 기재부는 땅을 팔아서라도 선 투자한 4천846억원을 당장 갚으라고 요구하고 있으나, 엑스포조직위는 오히려 시설활용을 위해 추가지원을 요구하며 맞서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여수박람회에 투입된 예산은 총 2조1천억원이다. 이중 공공지원과 민간투자 등을 제외하고 조직위가 조달해야 할 돈은 7천830억원. 현재 조달된 돈은 입장료 수입 1천200억원 뿐이다. 입장료 수입도 목표치 보다 600억원 마이너스다. 시설 사후 활용방안은 표류하고 있다. 이러다간 20년전에 개최된 이후 제대로 시설활용을 못해 '실패한 행사'로 남아있는 대전엑스포의 전철을 밟지나 않을까 걱정이다.

당초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행사 전 여수엑스포의 생산유발효과 12조2천억원, 부가가치 5조7천억원, 고용 7만8천명이라고 발표했다. 과연 이같은 경제효과를 믿을 수 있을까.

우선 대규모 국제행사를 유치하면 '성공'으로 포장된다. 대부분의 용역보고서는 막대한 경제유발효과가 있다는 분석을 내놓기 때문이다.

2011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는 생산유발 효과가 5조5천800억원이라고 했다. 전남도는 2010년 국제자동자경주대회 포뮬러원(F1)대회를 열면서 생산유발효과가 1조8천억원이라고 했다. 그것도 모자라 2016년까지 1천112억원의 운영수익을 낼 것이라고 큰소리 쳤다.

하지만 감사원 감사결과 실제로는 4천855억원 손실이 난 것으로 드러났다. 인천시의 2009년 '세계도시축전'은 152억원의 적자를 봤고, 거기에다 2014년 아시안게임 유치로 혹독한 재정난에 허덕이고 있다.

올림픽도 예외는 아니다. 순수한 흑자 올림픽은 1984년 LA올림픽이 유일하다. 당시 LA주정부는 재정을 부담하지 않는 조건으로, 민간재정을 끌어들이고 기업유치와 TV중계권, 입장권 판매로 흑자를 냈다. 경기시설은 기존 시설을 리모델링하거나 임대해서 사용했기 때문에 사후 활용방안은 걱정할 필요가 없다. 엄청난 적자를 초래했던 2008년 베이징올림픽의 1/5수준의 예산을 투입, '알뜰올림픽'으로 치러진 2012런던올림픽도 적자를 면할수 없다고 한다. 그리스는 2004년 아테네올림픽 개최에 쏟아부은 돈 때문에 지금까지 재정위기로 휘청거리고 있다.

대규모 국제행사는 행사가 끝난후 거품이 빠지면서 지역경기가 빠르게 위축되고 만다. 기존 경기시설에 대한 활용방안을 제대로 찾지못해 애물단지로 전락하기 일쑤다. 겉으로는 호화롭게 포장이 된 국제행사를 면밀하게 뜯어보면, 실제로는 '빛좋은 개살구'라는 것이다.

충북도의 잦은 국제행사 개최도 논란이 되고 있다. 내년에 충주세계조정선수권대회와 오송화장품·뷰티박람회를 시작으로 2014년 오송국제바이오엑스포, 2015년 세계유기능엑스포가 열린다. 여기에 세계 30여개 무술종목 고수들이 참가하는 무술올림픽을 오는 2017년 개최를 준비하고 있다. 앞으로 5년간 국제행사를 5번이나 치르는 셈이다. 투입되는 막대한 예산에 비해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이 적을 것으로 보이는데다, 사후 시설활용방안을 놓고 볼 때 도청내에서도 부정적인 여론이 만만치 않다.

물론 국제행사를 경제논리로만 보는 시각은 옳지 않을 수도 있다. 도시의 브랜드 가치 상승, 무역효과, 문화·체육산업 육성, 시민 수준 향상 등 눈에 보이지 않는 무형의 효과도 많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무조건 국제행사 유치에 매달리는 것은 옳지 않다. 단체장의 치적을 위한 것인지, 어떤 실익이 있는지부터 따져봐야 한다. 전국의 지방자치단체들이 국제행사 개최후 자원이 낭비되고 혈세가 헛되이 날아가는 일이 수 없이 반복되고 있지만, 그 누구도 책임을 졌다는 얘기를 들어본 적이 없다.

여전히 국제행사 유치라는 '성공' 뒤에는 항상 '적자'가 숨어있다는 것이 불편한 진실이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