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연 칼럼] 대전·세종본부장

통합 청주시청사 위치가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청사 위치 선정작업이 본격화되면서 청주·청원 주요 지역을 중심으로 시 청사는 물론 구 청사 유치운동이 활발해지고 있다.

청주시 일부 지역과 청원군 면 단위마다 청사 유치경쟁에 뛰어들면서 지역간 갈등과 소지역주의가 현실화되고 있는 것이다.

청주시 일각에서는 도심공동화 우려 차원에서 현 청사 활용방안을 제시하고 있는 반면, 청원군 지역에서는 통합의 의미를 살려 청사 위치를 청원군에 둬야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시민들 사이에서는 청사 위치의 경우 현 청사 부근의 부지를 매입해 증축하자는 기존 청사 활용론에서부터 사직동 일대 종합운동장 및 체육관 자리, 밀레니엄타운 부지, 옛 대농부지 등 다양한 의견이 분출되고 있다.

나아가 시 청사를 현 충북도청으로 하고 도청을 충주시로 옮겨야 한다는 지역 이기성 발언도 나오는 등 갈수록 갑론을박이 커지고 있다.

청원군 지역의 유치경쟁은 더욱 치열하다. 강내면 미호특구발전위원회는 이미 시 청사 및 구청사 유치를 위한 이론 정립에 이어 본격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어 옥산발전위원회를 비롯 남일·낭성·미원·가덕·문의 등 청원군 남부 5개면의 연합체인 남부발전위원회를 비롯 내수읍·북이면발전위원회등 모든 지역이 청사유치에 한치의 양보가 없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 시 청사를 청원군에 입지해야 한다는 '청주시 양보론'까지 불거지면서 지역간 분열이 확대재생산되는 양상이다.

그러나 한범덕 청주시장은 이 문제에 대해 분명한 선을 그었다. 한 시장은 최근 "청주청원상생발전안을 청주시가 많이 양보하고, 재정지원도 해야하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통합 청주시청사와 4개 구청사 입지는 전혀 다른 문제"라며 양보론을 일축했다.

사실 통합 시청사 입지 문제는 (재)한국지방행정연구원의 용역결과를 놓고 향방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용역결과를 토대로 공청회와 토론회를 거쳐 최대공약수를 찾으면 된다.

물론 이 과정에서 지역 주민들의 의견 수렴이 필요하며, 청사 유치를 위한 주민들의 다양한 의견 표출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다만, 모두가 아전인수식로 해석해 수익성 있는 사업은 오로지 내 지역으로 와야한다는 '핌피현상'은 경계해야한다는 것이다. 내 지역이 아니면 안된다는 논리는 소지역주의·이기주의로 나타나 갈등만 초래할 뿐이다.

따라서 시 청사 위치 문제는 주민편의성, 접근성, 인구분포도, 균형발전 등 많은 분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나아가 백년대계 차원에서 입지를 설계해야하는 중대한 사안이다. 무엇보다도 경계해야할 것은 정치적인 입김이다. 청사 유치 경쟁이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자칫 정치인들의 '치킨게임'으로 치닫게 되면 지역발전은 더욱 요원해지기 때문이다.

경제자유구역청 유치도 과열양상은 마찬가지다. 충주시와 청원군 간 유치경쟁은 경제자유구역의 성공추진을 위한 본질은 온데간데 없고 껍데기격인 청사 유치만 부각되고 있는 모습이다. 이시종 충북지사가 "비단옷을 입고 길을 나서자마자 진흙탕을 걷는 모양새"라고 말할 정도로 과열유치경쟁의 모양새가 사납다.

오랜 숙원사업이었던 청주청원 통합은 주민들이 힘을 합쳐 이뤄낸 역사적인 작품이다. 여기에 정치인들의 '지방선거 논리'가 가세하는 유치 경쟁은 원활한 통합작업의 장애물이라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실제로 지난 2010년 7월 창원, 마산, 진해를 합한 이후 통합 창원시는 새 청사 입지를 놓고 2년 8개월 동안 치킨게임을 벌이고 있다. 박완수 시장과 마산, 진해지역 시의원들간 감정싸움으로 번진 쌈박질의 배경은 사실상 내년 지방선거를 앞둔 '표' 때문이다. '지역균형발전'이라는 미명아래 의원들간 득표 셈법이 깔려있다보니 해법이 나올리 만무다.

청주청원이 통합 창원시의 사례를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삼아야하는 이유다.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