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리불던 소년, 조선의 음악 완성한 '악성'

국악체험전수관

초수리(초정리)의 아침은 맑고 향기로웠다. 임금은 뒷산으로 올라가 머루와 달래를 따 먹고 계곡물에 발을 담갔다. 짜릿했다. 햇살도 눈부셨다. 함께 길을 나선 신하의 한 마디에 귀가 솔깃했다. "이곳에 옥이 있습니다. 이는 분명 태평성대의 징조입니다."

임금은 급히 영동 출신의 박연을 불렀다. 초수리의 옥으로 편경을 만들자고 했다. 그동안 궁궐에서는 각종 행사 때마다 중국 음악으로 연주했다. 이것이 영 마뜩치 않았다. 우리 음악(향악·鄕樂)이 있는데도 으레 중국 음악(당악·唐樂)을 연주하는 것은 국격에도 맞지 않았다.

고심을 하고 있던 중에 옥이 발견된 것이다. 박연에게 여러 서책을 내려주면서 중국과 다른 우리 고유의 악기를 만들고 우리만의 음악을 가져야 한다고 했다. 박연은 세종의 주문에 고무되어 조선의 음악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다양한 제안을 올리곤 했다.

국악체험하는 난계의 후손들

"소리가 영롱하지 않구나. 각각의 소리마다 결이 있어야 하는데 아쉬움이 있구나. 어느 음률은 일분(一分) 높고, 어느 음률은 일분 낮으니 어찌해야 할까." 세종은 초수리의 옥으로 만든 편경 소리가 만족스럽지 못했다. 그래서 박연과 여러 날 밤을 세워가며 악기를 깎고 다듬기를 반복했다. 세종과 박연은 절대음감을 갖고 있었다.

사실 박연은 음악인이 아니었다. 문과에 급제하고 집현전 교리까지 역임한 사대부 출신이다. 조부 박시용이 일찍이 대제학을 지냈으며 부친 박천석도 이조판서를 지낸 전형적인 문관 집안에서 태어났다. 그런 그가 음악 전문가로 변신한 것은 세종을 만나면서부터다. 세종이 여러 대신들의 면면을 살펴본 결과 박연에게는 남들이 갖고 있지 않은 집중력과 분석력, 그리고 음악에 대한 이해력이 뛰어남을 알았기 때문에 음악 연구에 몰두토록 한 것이다.

박연은 앉아서나 누워서나 손을 가슴 밑에 얹어서 악기를 다루는 시늉을 했다. 입속으로는 율려(律呂)소리를 놓지 않았다. 밤낮없이 악기를 다듬고 소리내서 흥얼거리기를 수없이 반복했다. 한 일(一)자를 10년 쓰면 붓끝에서 강물이 흐른다고 했던가. 10여 년 만에 드디어 우리음악을 탄생시켰다. 악보를 편찬하고 악기를 만들며 '조선의 기준음'을 만드는 대업을 이루었다.

난계 동상

그 과정은 간단치 않았다. 악기를 조율하고 악보를 편찬하기 위해 임금에게 39번이나 상소문을 올렸다. 음악의 중요성을 강조한 배경에는 박연이 어린 시절 피리 부는 습관과 무관치 않았다. 효성이 지극했는데 일찍 돌아가신 어머니 묘를 3년 동안 지키면서 피리 부는 솜씨를 키웠다. 서울로 올라가 피리 부는 광대에게 날마다 찾아가 배우기를 게을리 하지 않았다. 절차탁마(切磋琢磨). 그 때의 인내와 지혜와 열정이 조선의 음악을 만드는데 기틀이 된 것이다.

박연은 세종 이후 문종, 단종을 모시며 음악을 연구하고 학문장려에 힘썼다. 그렇지만 말년에 세조의 계유정남으로 인해 시련이 시작되었다. 아들 박계우가 세조에게 반대하다가 처형당했다. 며느리는 노비로 전락했다. 박연 또한 죽을 위기를 맞았지만 3조 왕을 모신 원로라는 이유로 파직당하는 선에서 마무리했다.

박연은 고향 영동으로 낙향했다. 서울을 떠나던 날 지인들을 향해 피리를 불었다. 조선 최고의 악성 앞에서 사람들은 머리를 숙였고 눈물을 훔쳤다. 한강에서 배를 탔다. 흐르는 물은 말이 없었다. 바람도 고요했다. "내가 아니었으면 너는 음악을 만들지 못했을 것이고, 나 역시 네가 없었다면 우리의 음악을 만들지 못했을 것이다." 세종의 말씀이 주마등처럼 스쳐갔다. 지나온 삶이 무량했다.

국악체험촌

지금 영동에는 난계의 정신과 음악세계를 기리고 발전시키려는 노력이 한창이다. 난계국악단에서는 지역과 서울을 오가며 국악의 향연과 인재양성에 힘쓰고 있다. 매년 난계국악축제를 개최하고 국악기제작촌에서는 다양한 전통악기를 만들고 있다. 소리의 세계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현실의 세계가 아니다. 그래서 소리는 더욱 애틋하고 그립다. 하물며 음악은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최고의 즐거움이다. 글 / 변광섭(컬처디자이너, 에세이스트)

국악전수관 외부 조형물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부매일 - 충청권 대표 뉴스 플랫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